책소개
새로운 매체에 익숙한 우리 아이들은 새로운 매체가 부여한 특징만큼이나, 자유롭고 창의적이다. 따라서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교육은 단지 미디어 메시지를 잘 읽고 분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를 창의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데 목적을 두어야 한다.
이 책은 디지털 세대의 등장과 이에 따른 미디어 교육의 변화를 개념, 목표, 교육 내용의 관점에서 다룬다.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교육은 무엇인가?’에서부터 ‘인터넷, 게임 등을 우리 아이들에게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에 이르기까지 미디어 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내용을 포함한다.
미디어 교육은 단지 미디어에 대한 교육만을 의미하진 않는다. 미디어가 사회를 변화시켰듯이, 미디어 교육도 인간과 인간의 관계, 인간과 사회의 관계를 변화시키는 원동력임에 분명하다. 미디어가 개별화되고, 미디어 생산자가 늘어갈수록, 미디어 교육은 새로운 사회를 밝히는 지표가 될 것이다.
200자평
미디어 교육은 미디어 자체에 대한 교육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미디어의 힘을 제대로 이해하고, 이를 가치 있게 활용하며 창조적·능동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는 인간 능력을 창출하는 것이다. 이 책은 미디어 리터러시 이론과 개념을 한눈에 정리,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서의 교육 방향을 제시한다. 인터넷 미디어, 게임 리터러시 등 디지털 미디어 교육 커리큘럼도 소개한다.
지은이
김양은
중앙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서 ‘미디어 교육’으로 석사·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사)사이버문화연구소 연구위원 겸 소장을 역임했으며, (사)게임물등급위원회 심의위원으로 있다. 최근 3년간은 초등학생 및 중학생의 미디어 교육 교재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미디어 교육 강사를 위한 강사용 자료집 『미디어의 이해』, 『미디어의 활용』, 초등학교 교재 『미디어 알아보기』, 『미디어 세상보기』, 중학생용 교재 『미디어가 보는 세상, 미디어로 보는 세상』을 기획·개발했다. 박사학위논문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미디어교육에 관한 연구”를 시작으로 미디어 교육과 관련한 연구보고서, 국내외 학술지 논문, 학술대회 발표논문 등을 집필했다. 대표적인 연구로는 “미디어교육의 개념변화에 대한 고찰”, “미디어교육 교육과정 모델 구성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미디어 교육 분야에서도 인터넷과 게임 등 디지털 미디어를 주로 연구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연구로는 “게임 미디어 교육의 내용구성에 관한 시안적 연구”가 있다. 이외에 게임 미디어 교육을 위한 교재 『게임 안으로, 게임 밖으로』, 인터넷 미디어 교육을 위한 『인터넷미디어교실』 등을 개발했다.
차례
머리말
1장 디지털 세대, 디지털 미디어
디지털 미디어로 말하는 아이들
달라지는 미디어 교육
2장 미디어 교육의 이론적 배경
미디어 현실과 수용자
텔레비전 수용에 관한 논의
1. 텔레비전과 사회화
2. 영상문화와 독서 능력의 감퇴: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감퇴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달과 수용자의 변화
1. 새로운 세대와 컴퓨터, 그리고 인터넷
2. 정보 창조 그리고 디지털 격차: ‘디제라티’의 탄생
3장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교육
미디어 교육의 기존 개념
미디어 교육의 개념 확장
1. 미디어 교육의 개념 확장
2. 미디어 교육 개념의 역사적 변화
3. 커뮤니케이션 능력으로의 미디어 교육
디지털 시대 미디어 교육의 변화
1. 커리큘럼 변화
2. 실행 방법 변화
4장 미디어 발달과 미디어 리터리시
미디어 발달에 따른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
1.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달과 사회 변화
2. 매체의 발달과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
매체별 미디어 교육에의 적용
1. 인쇄미디어의 미디어 교육에의 적용
2. 영상미디어의 미디어 교육에의 적용
3. 컴퓨터 리터러시의 미디어 교육에의 적용
4. 정보 리터러시의 개념과 범위
멀티 리터러시로의 진화: 정보 리터러시와 미디어 교육
5장 미디어 교육의 커리큘럼 구성 모델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미디어 교육 이론
1. 기존 미디어 교육의 이론적 배경
2. 새로운 이론적 배경의 대두
국가별 미디어 교육 내용 비교
1. 미디어 교육 커리큘럼에 관한 논의
2. 실행 형태에 따른 국가별 교육 내용 분류
대상별 미디어 교육 내용과 목표
1. 어린이-유치원과 초등학교 대상 미디어 교육
2. 청소년 대상 미디어 교육
3. 성인 대상 미디어 교육
실행 주체별 미디어 교육 내용과 목표
1. 교육단체의 미디어 교육 형태
2. 사회단체의 미디어 교육 형태
3. 가정의 미디어 교육 형태
미디어 교육 커리큘럼 구성을 위한 이론적 검토
1. 미디어 교육의 목표 설정
2. 미디어 교육 커리큘럼 모델 검토
3. 미디어 교육 커리큘럼 모델 구성
4. 미디어 교육 커리큘럼(안)
디지털 미디어에 관한 미디어 교육 내용구성(안)
1. 인터넷 미디어 교육의 내용 구성
2. 게임 미디어 교육의 교육 내용 구성
3. 게임 미디어 교육의 내용 구성 모델
6장 디지털 시대의 생존 전략, 미디어 리터러시
참고문헌
책속으로
미디어 교육을 논의할 때 고민해야 할 점은 “미디어 교육이 왜 필요한가?”가 아니라, “미디어 교육을 통해서 무엇을 얻을 것인가?”에 있다. 미디어 교육은 미디어의 힘을 제대로 이해하고, 이를 가치 있게 활용하고, 창조적이고 능동적으로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인간 능력을 창출해야 한다.
_ ‘1장 디지털 세대, 디지털 미디어’ 중에서
새로운 세대는 이제까지의 인류들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세계와 상호작용한다. 우리는 이 독특한 변화에 적응한다기보다는 우리가 급속하게 변화한다는 사실 자체에 적응해야 한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가상세계와 현실세계, 이 두 세계를 살아가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커뮤니케이션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이 될 것이다.
_ ‘2장 미디어 교육의 이론적 배경’ 중에서
커뮤니케이션 기술 발달에 따른 사회적 환경의 변화, 그리고 인식론적 토대의 변화는 미디어에 대한 개념을 변화시키고 있다. 결과적으로 미디어에 대한 교육을 목표로 삼고 있는 미디어 교육에 대한 개념도 재정의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는 미디어 교육 현장에서도 발생된다.
_ ‘3장 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교육’ 중에서
정보 리터러시란, 정보가 필요할 때, 이를 인식하고, 발견하며, 획득한 정보를 평가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러한 목표하에서 정보 리터러시의 커리큘럼을 구성해 보면 다음의 표와 같다.
_ ‘4장 미디어 발달과 미디어 리터리시’ 중에서
독립 과목으로 미디어 교육을 학교 정규 과정에 포함하는 나라는 호주, 미국의 일부 지역(35∼40%), 네덜란드의 소수국가다. 가장 성공적인 형태의 발전을 보이는 호주의 교과 과정을 살펴보면, 텔레비전 리터러시 과정에 텔레비전 외에 신문, 영화, 잡지, 라디오 등을 포함하며, 유치원에서 고등학교 수준까지 연결해 실시하고 있다.
_ ‘5장 미디어 교육의 커리큘럼 구성 모델’ 중에서